본문 바로가기

여성 호르몬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로 자율 신경 실조증이?

사람에게 중요한 활동 중 하나가 바로 잠입니다. 신체적으로 피로한 것은 식사를 한다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서 회복시킬 수 있지만 뇌의 피로는 잠을 자면서 회복할 수 있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계속 수면 부족 상태이거나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어느 순간 자율 신경 실조증까지 발병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수면부족으로 인한 상태는 어떻게 나타나는 것일까요. 그리고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는 자율 신경 실조증은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것일까요.

 

이번에는 수면 부족으로 나타나는 증상과 그로 인해 자율 신경 실조증이 나타나는 증상에 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수면 부족으로 보이는 증상

가끔 티브이에서 재밌는 예능 프로그램을 본다던가, 친구와 만나서 재밌는 시간을 보낸다고 밤샘을 한 경우의 수면 부족은 자고 나면 거의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매일 수면 부족의 상태가 지속된다면 바로 회복시키는 게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좋지 않은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① 스트레스 증가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이 바로 스트레스의 증가입니다. 원래 수면을 통해서 뇌의 피로를 회복해야 하는데 이런 시간이 부족하게 되면 스트레스가 풀리지 못하고 쌓이게 됩니다. 이런 스트레스가 쌓이다 보면 어느 순간 숙면을 취할 수 없는 수면 장애까지도 발생하게 됩니다.

 

② 혈압 상승

신체에는 아드레날린과 노르 아드레날린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압과 심박수를 상승시켜 사람을 활동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이런 호르몬 활동이 낮에 일어난다면 좋은 일이지만 밤에 이런 활동을 하게 되면 저절로 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것이 계속되면 순환계 질환의 문제로 발전된 가능성도 있습니다. 

 

③ 집중력 부족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하면 다음날 공부나 일에 집중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일상생활에서 작은 졸음은 큰 문제가 없지만 운전을 하는 사람은 이런 상태로 운전을 하는 경우 큰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④ 감정 기복 증가

계속적으로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작은 일에도 좌절이나 분노를 느낄 수 있습니다. 평소에 별일 아닌 것들로 일이나 사람 관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드레날린의 증가는 공격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숙면이 필요합니다.

 

⑤ 두통

잠이 부족하다고 두통이 생긴다는 정확한 연구결과는 없지만 보통 잠이 부족하게 되면 자율 신경의 밸런스가 깨져서 두통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⑥ 체중 증가

잠을 자는 것이 충분하지 않으면 식욕이 증가하는 호르몬이 높아지고 식욕을 떨어뜨리는 호르몬이 감소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평소보다 많은 칼로리 섭취로 인해서 체중이 증가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여성에게 나타나는 자율 신경 실조증 증상

자율 신경 실조증은 자율 신경 균형이 깨지게 되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그래서 성별에 상관없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여성은 호르몬의 균형과 생리 변화와 연결되어 남성보다 더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생리 불순
  • 폐경 및 갱년기
  • 갑상선 호르몬의 혼란

한 달에 한번 하는 월경으로 인해서 예민하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는 평소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너무 심한 경우에는 자율 신경이나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갑자기 생리 기간이 일정하지 않다던가 생리가 멈춘다던가 다른 때보다 생리통이 심할 수도 있습니다. 

 

40대 이후에는 갱년기가 오고 50대 전후로 폐경이 오면서 여성으로는 큰 호르몬 밸런스의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이렇듯 자율 신경 실조증이나 폐경의 증상은 매우 비슷하며,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이런 질환은 교감신경이 항진되고 부교감신경이 억제되면서 갑상선 기능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하루 이틀의 수면 부족은 휴식을 취하면 빠른 기간 내에 회복이 되지만 장기가 수면 부족은 몸에 여러 가지 증상으로 문제가 생기기 됩니다. 결혼한 여성의 경우는 불임까지 될 수도 있으므로 평소와 몸의 상태가 다르다고 생각이 들면 바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잠이 부족하기 않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규칙적인 수면주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되도록이면 체내 시계를 정상으로 하기 위해서 햇빛을 받기도 하고, 영양 밸런스가 있는 식사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되도록이면 낮잠은 자지 않거나 짧게 자는 것이 좋으면 평소 카페인이 있는 음료는 밤에 먹지 않도록 하고 과도하게 마사지 않도록 주의해서 숙면을 취하도록 해야 합니다.